토목공학 전공 교수
김 인 태
안녕하십니까?
창조기반 첨단 해안도시를 위한 ‘건설융합 전문 인력양성 특성화 단위’를 추진하기 위해 책임교수를 맡고 있는 유재우 교수입니다. 저희 건설융합학부는 지난 5년 동안 진행해 오던 CK사업 실적을 기반으로 정부 지원과 우리대학의 정책적 판단으로 대학혁신지원 사업단에 선정되어 지속적으로 전문인력 육성을 위해 2019년 3월부터 재출범하게 되었습니다. 그 동안 참여해 주신 모두의 협조와 열정으로 달성한 성과이고 더욱 발전시켜 나아갈 것을 다짐합니다.
그 동안 건설 분야는 한국경제를 견인해 왔고, 오늘날 글로벌 4차 산업 경제시대에도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의 개척을 위해 역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건설융합학부에서는 융합건설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복합전공 교육프로그램을 계속 운영해서, 고부가가치형 건설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국제적 수준의 창의인재를 육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창의형 융합기술을 위해 토목공학, 건축학, 건축공학, 도시공학 등 전공간의 건설기술 강화를 위한 지원 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 준비된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별 능력과 관심에 따라 건설문야 전공융합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의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도시건축 및 건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성화된 인재를 육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각종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고, 지속가능한 해안 명품도시 구축 건설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국내 최대·최고의 동남권 거점 중심대학으로서 각 전공 분야의 우수한 인적·물적 자원이 집적된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의 소임을 다해 세계 속의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로 우뚝 일어서는데 함께 기여하고자 합니다.
■ 건설융합 전문 인력양성 특성화 교육 방향
시대적 요청에 따라 복합형 건설 산업을 주도할 고부가가치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고자 준비하고 있는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래 대응형 도시방재 및 관리기술 분야 인재양성 : 재난방지형 도시· 건축·토목 구조물 건설 및 유지관리시스템, 도시시설물 ICT복합기술,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기반 구축, 초대형·초고층건축 및 구조물설계 건설기술, 통일 후 복합건설시스템 설계기술 등
▶ 친환경건설기술 창의형 인재양성: 장수명 건축도시 설계건설기술, 친환경 건설재료구법 융합형 시스템, 지형대응형 친환경 건설설계기술 등
▶ 도시건축 복합설계·구축기술 인재양성: 해안 도시건축토목 설계 및 건설기술, 첨단IT 기반형 비선형 건축구조물 설계 및 건설기술,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개발 기술, Compact-City 설계, 교통인프라 기반형 도시건축 복합설계 기술, 미래형 복합복지시설, 저렴·최적화 도시건축토목융합 설계건설기술 등
▶ 도시재생 창의인재 양성: 도시건축 문화자원 기반형 도시재생 계획 및 설계기술, 저렴형 리모델링 기술, 순환형 단지개발 설계기술, 도시·농업형-친환경-친사회형 도시재생기술, 근현대도시문화유산 재생복원설계 및 특화 겅설기술, 어메니티형 외부공간 구축 디자인 설계건설기술 등
▶ 초고령사회 대응형 건설인재 양성: 노유자 특성을 반응형 유니버셜디자인 시설물 설계, 미래형 노유자 의료싸이클링 복지시스템 및 시설 등
■ 프로그램 참여 학생 지원 안내
▶ 장학금 지급, 학·석사 연계과정 참여 학생 연구비 및 장학금 지급, 졸업시 전공이수 학사 부여, 부산광역시 지원 ‘청년도시재생사’ 자격 부여(해당 과목 이수 학생 한정), 맞춤형 취업·역량강화 특강프로그램 운영, 스마트 교육환경 환경 개선, 융합건설 교육을 위한 실험 및 지자재 구축비 지원, 대외 현장 실습 및 공모전 참여 지원
▶ 사무국을 통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고, 이를 홍보하기 위해 스마트 게시판을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